회사 직급 직책 순서와 직급 영문표기법 A to Z
취업시장이 좁아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취업률이 낮고 포기하는 젊은 연령대가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웬만한 스펙으로는 지원조차 힘든 입사 기준도 문제가 되는 것 같은데요.
높은 문턱을 넘어 원하던 회사에 취업하게 된 신입사원들에게 도움 될만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신입사원에게는 회사 내 직급과 직책 구조가 생소하고 헷갈릴 수 있는데 직급, 직위 순서와 팀장, 차장 등의 직급 영문 표기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회사 내 직급의 중요성
조직 내에서의 역할과 책임, 권한을 나타내는 직급은 높을수록 더 많은 책임과 권한이 주어지고 전략적이고 대내외적인 결정에 관여하는 결정권을 갖습니다.
회사의 직급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조직의 구조를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어지는 아랫글에서 회사 직급 순서, 직책 구조 그리고 각 직위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적금 추천 목돈모으기 좋은 추천 상품
돈 모으기의 시작, 재테크 입문자를 위한 저축과 투자의 조화
수익률 142% 목돈 마련 가능한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모집 조건 소득 총정리
회사 직급 순서
회사의 직급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구성됩니다.
회사 직급 순서
인턴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각 회사의 문화와 구조에 따라 직급 체계가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에서 유사한 순서로 진급 체계가 구성됩니다.
별도의 경력과 직급이 없이 첫 입사 혹은 이직하게 된다면 인턴 또는 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기업과 같은 대규모 기업의 경우 인턴 제도를 운용하는 곳이 있지만 일부 기업은 인턴 활동을 생략하고 정규직 채용으로 사원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원은 실무 경력과 역량이 쌓이면 주임 또는 대리로 승진할 기회를 얻게 되고 이후 과장, 차장을 거쳐 부장까지 진급할 수 있습니다.
기업 규모와 내규에 따라 일부 조직에서는 실장, 팀장, 본부장과 같은 직책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회사 고위 임원 직급으로는 상무, 전무와 최고 경영자인 회장까지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이사 - 상무(상무이사) - 전무(전무이사) - 부사장 - 사장 - 대표이사 - 회장 순입니다.
사장과 대표이사의 차이
사장과 대표이사는 혼용되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역할과 책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사장은 기업 내부의 경영 전반을 책임지는 최고경영자 중 한 명으로, 위치적으로 보면 대표이사나 회장 밑에 속하여 일하는 경우가 많지만, 때에 따라 사장이 대표이사인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이사는 이사회의 선결을 통해 선임되며 법적으로 회사를 대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으로 여러 명이 대표이사라는 하나의 직책을 가질 수 있습니다.
사장은 주로 기업의 일상 운영과 전략적 관리에 초점을 맞추지만 대표이사는 회사의 법적, 재무적 책임을 지며 대외적 활동을 주로 담당합니다.
이처럼 사장과 대표이사는 비슷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책임과 법적 권한에 따라 차이를 보입니다.
직급(직위)과 직책의 차이
일반적으로 직장 내 직급, 직위라고 하면 회사 내 조직 구성원에게 할당된 업무와 책임의 단위를 말합니다.
ex)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등
직책은 특정 직위에 구체적인 권한과 책임이 부여되며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역할로서 직급과 직책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ex) 실장, 파트장, 팀장, 본부장, 국장 등
직급 직함 영문 영어 표기법
명함이나 메일 등 영어 직급 표기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참고하기 좋은 영문 직급 표기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직급 직책 직함 | 영문 |
인턴 | Intern |
사원 | Employee, Staff |
주임 | Junior Assistant Manager |
대리 | Assistant Manager |
과장 | Manager |
직급 직책 직함 | 영문 |
차장 | Deputy General Manager, Senior Manager |
부장 | General Manager, Department Head |
팀장 | Team Leader, Section Chief, Division Head |
실장 | General Manager of Department |
센터장 | Center Director |
본부장 | Head Manager, Division Director |
국장 | Director General |
이사 | Director |
상무 / 상무이사 | Senior Managing Director |
전무 / 전무이사 | Executive Managing Director |
부사장 | Executive Vice President, COO (Cheif Operating Officer) |
사장 | President |
대표 / 대표이사 | CEO (Chief Executive Officer) |
회장 | Chairman |
지금까지 회사 직급 직함 순서와 직책의 차이, 그리고 직급 영문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마다 체계가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회사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글로벌비즈니스가 주된 경우라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직급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회사 직급 직책 순서와 직급 영문 영어 표기법 A to Z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빅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사카 7월 8월 여름 날씨와 장마, 태풍 기간 알아보기 (0) | 2024.07.10 |
---|---|
성공에 관한 짧은 명언 힘이 되는 글 캘리그라피 문구 필사 추천 (0) | 2024.07.03 |
미니멀리스트 EP. 03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 불필요한 물건 정리하기 (0) | 2024.06.18 |
미니멀리스트 Ep. 02 쓰임의 역할을 다한 물건 보내주기 (0) | 2024.05.08 |
미니멀리스트 도전기 Ep. 01_모으기의 기본은 비우기! (2) | 2024.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