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2025년 최저시급 1만 원 시대 개막 : 주급 월급 환산 및 주휴수당 계산 방법

by 잡식리뷰 2024. 11. 21.
728x90

2025년 최저시급 1만 원 시대 개막 : 주급 월급 환산 및 주휴수당 계산 방법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돈 모으기의 시작, 재테크 입문자를 위한 저축과 투자의 조화

SC제일은행 Hi통장 최고금리 4% 가입 및 인출, 계좌이체 한도 해제 방법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적금 추천 목돈 모으기 좋은 추천 상품


목차

     


     

    2025최저시급이 2.5% 인상된 10,030으로 확정되며 2025년 최저월급은 2,096,270원이 되었습니다.

     

    2025년-최저시급-주급-월급-주휴수당-알아보기
    2025년 최저시급 주급 월급 주휴수당 알아보기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일한 시간만 계산하여 받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시간 이상 일하게 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월급에는 기업별로 직급 수당 또는 초과근무 시 받게 되는 야근 수당은 물론, 각종 상여금과 교통비, 식대 심지어 통신비까지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최저시급을 한 달 임금으로 환산하여 계산하기에 복잡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최저임금을 주급과 월급으로 환산하는 방법과 주휴수당 포함 여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최저임금의 인상 역사

     

    최저시급은 매년 변동되며, 지난 10년간 꾸준한 상승세 보였습니다.

    2015년에는 5,580이었던 최저임금이 4년 뒤 8,350원으로 인상되었고, 2023년에는 9,620으로 올랐습니다.

     

    최저시급-변화-그래프
    최근 10년 최저시급 변화 그래프

     

     

    그리고 다가올 2025년에는 10,030으로 확정되어, 주휴수당을 제외한 순수 최저시급이 처음으로 1 원을 돌파했습니다.

    10년간 약 두 배 가까이 인상된 수준이네요.

     


    2. 최저임금을 주급으로 환산

    주급은 일주일 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급여를 의미합니다. 최저임금을 주급으로 환산하려면, 하루 8시간, 5 근무(주 40시간)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이때, 주휴수당을 포함해야 합니다.

     

    주급 계산 방법

     

    하루 8시간, 5 근무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으로 여기에 주휴수당 8시간 더하면 48시간이 됩니다. 이를 최저임금 10,030원으로 계산하게 되면 주급은 480,960 됩니다.

    주급 계산 예시

    하루 4시간, 5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은 20시간입니다. 여기에 주휴수당 4시간 더하면 24시간이 됩니다. 이를 최저임금 10,030원으로 곱하면 주급은 240,720 됩니다.

    주급 계산 확인 방법

    받은 돈을 근무시간과 주휴수당을 합한 시간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4시간, 5 근무하고 235,200원을 받았다면, 시급은 9,800으로 계산되어 2025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한 금액입니다.

     


    3.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

     

    월급은 달간 일한 대가로 받는 금액, 즉 급여를 의미합니다.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하루 8시간, 5 근무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역시 주휴수당을 포함해야 합니다.

     

    월급 계산 방법

    하루 8시간, 5 근무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입니다. 일 년은 52주로, 12개월로 나눠 편의상 달을 평균 4.35 계산하면, 실제 근무시간은 174시간이 됩니다. 174시간에 주휴수당 35시간 더해  209시간을 최저임금 10,030원으로 곱하면 월급은 2,096,270 됩니다.

     

    월급 계산 예시

    받은 돈을 209시간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2,069,100원이라면, 시급은 9,900원으로 계산되어 최저임금법을 위반하게 됩니다.

     


    4.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항목과 배제되는 항목

    직장인

     

    최저임금에는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 식대, 교통비, 상여금, 숙박비, 생활보조금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연장 근무시간에 따라 바뀌는 연장 수당 비정기적인 수당은 제외되며 시간 외 수당을 제외한 식대 및 교통비, 상여금 등은 모두 최저임금에 포함 가능합니다.

     


    5. 주휴수당 조건 알아보기

     

    주휴수당을 포함한 금액과 그렇지 않은 금액이 꽤 차이가 크기 때문에 주휴수당 수급 조건에 해당한다면 꼭 챙겨야 하는 혜택인데요. 모든 사람이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주휴수당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시간을 모두 채우고, 일주일 동안 일하기로 모두 출근했을 받을 있는 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의 조건

    • 일주일 동안 일하기로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
    •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시간을 모두 채워야 합니다.

    일주일 동안 일하기로 하루라도 빠지면 주휴수당을 받을 없습니다. 또한,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시간을 모두 채우지 못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없으니, 아르바이트나 구직활동 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6.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 방법

    주휴수당 포함 시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주휴수당 포함 시급 = (주휴수당 포함 월급 ÷ 실제 근무시간)
    728x90

     

    예를 들어, 하루 8시간, 5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실제 근무시간은 174시간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월급이 2,096,270원이므로, 주휴수당 포함 시급은 12,408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주급과 월급으로 환산하는 방법과 주휴수당 포함 여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최저임금은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중요한 사항이므로, 정확한 계산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